주택화재 대처방안 알아보기
겨울철 많이 사용하는 전기장판, 전기난로, 온풍기 등 다양한 난방 기구들은 잘못 사용하면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은 채 사용하면 사고 위험이 커지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택화재보험은 주거용 건물에서 발생하는 화재, 폭발, 붕괴 등의 사고로 인한 손해를 보장하는 보험입니다.
화재는 예상치 못한 순간에 발생하며, 단 한 번의 사고로도 막대한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은 건조하고 바람이 강해 화재가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전체 화재 중 주택에서 발생한 비율은 약 18.3%였으나, 화재로 인한 사망자의 47.8%가 주택에서 발생했습니다. 화재의 원인 중 54.2%가 부주의로 인한 사고이며, 음식물 조리 중 방치, 담배꽁초, 쓰레기 소각, 불씨 방치 등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가스레인지 위의 냄비를 깜박하거나 뜨거운 헤어 기구를 천으로 덮어두는 등 사소한 실수가 예상치 못한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주택화재보험, 누가 가입해야 할까?결론적으로 집주인뿐만 아니라 세입자도 반드시 가입해야 합니다.
집주인(임대인)의 경우아파트 단체보험이 가입되어 있어 주택화재보험이 필요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단체보험은 보상 한도가 낮아 화재로 인한 피해를 충분히 보상받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추가적으로 화재로 인한 벌금이나 이웃집에 대한 배상책임까지 보장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 주택이나 다세대주택의 경우 단체보험이 없는 경우가 많아, 별도로 화재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입자(임차인)의 경우세입자가 화재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화재를 발생시켜 건물에 손해를 끼쳤다면, 임대차 계약법에 따라 원상 복구 의무를 져야 합니다. 이를 대비해 세입자도 반드시 주택화재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